반응형
갤럭시워치를 사용하다 보면 스마트폰과의 동기화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, 단독으로 사용할 때 시간이 맞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. 특히 해외 여행 중이거나 스마트폰 없이 워치만 착용하는 상황이라면 수동으로 시간을 설정해야 하는 일이 생기죠. 이 글에서는 갤럭시워치의 시계 설정을 자동 및 수동으로 맞추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.
1. 기본 설정: 스마트폰과 동기화된 시간 확인
갤럭시워치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어 시간과 날짜를 자동으로 동기화합니다. 이 경우 워치에서 직접 시간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.
- 워치 화면 상단에서 아래로 스와이프하여 빠른 설정 메뉴를 엽니다.
- 톱니바퀴 아이콘(설정)을 눌러 ‘일반’ 메뉴로 이동합니다.
- ‘날짜 및 시간’ 항목이 비활성화되어 있고, ‘폰과 동기화됨’이라는 문구가 표시됩니다.
- 이 상태에서는 시간 설정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.
[삼성 웨어러블] 갤럭시 워치, 시계 화면 꾸미기 방법이 궁금합니다.
[삼성 웨어러블] 갤럭시 워치, 시계 화면 꾸미기 방법이 궁금합니다.
휴대전화의 갤러리에 저장된 사진을 갤럭시 워치의 시계 화면 배경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워치 시계의 배경화면 등을 스스로 바꾸고 꾸밀 수 있습니다.
www.samsungsvc.co.kr
2. 수동 설정: 스마트폰 연결 해제 후 시간 조정
스마트폰과의 연결을 끊으면 갤럭시워치에서 직접 시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다음은 수동 설정을 위한 단계입니다.
2-1. 블루투스 연결 해제
- 설정 메뉴에서 ‘연결’ 항목으로 들어갑니다.
- ‘블루투스’를 선택한 후 ‘사용 안 함’으로 변경합니다.
- 연결이 해제되면 ‘날짜 및 시간’ 메뉴가 활성화됩니다.
2-2. 시간 및 날짜 설정
- ‘날짜 및 시간’ 메뉴를 선택합니다.
- ‘자동 설정’ 기능을 끄면 GPS나 Wi-Fi를 통한 자동 설정이 비활성화됩니다.
- ‘시간 설정’에서 오전/오후, 시, 분을 직접 입력하고 ‘완료’를 누릅니다.
- ‘날짜 설정’에서는 연도, 월, 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‘시간대 설정’에서는 현재 위치에 맞는 표준시(GMT+9:00 등)를 선택합니다.
- 필요 시 ‘24시간 형식 사용’ 여부도 설정 가능합니다.
3. 설정 후 주의사항
- 수동으로 설정한 시간은 스마트폰과 다시 연결되는 순간 자동으로 동기화되어 원래대로 돌아갑니다.
- 시간을 일부러 빠르게 설정해두는 습관이 있는 사용자라면, 스마트폰과의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
- 단독 사용 시에는 알림 기능이나 앱 연동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 설정을 조절해야 합니다.
갤럭시워치는 자동 동기화 기능이 기본으로 제공되지만, 필요에 따라 수동 설정도 가능합니다. 특히 스마트폰 없이 워치를 사용하는 경우나 시간대를 변경해야 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니, 설정 방법을 미리 숙지해두면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